일전에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라는 책을 메일로 소개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책에서 말하는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란 특정한 기술이나 프로세스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각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해결방안을 찾아낼 수 있고, 실용적인 기술에 능숙하며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두려움이 없는 프로그래머를 말하고 있습니다.
몇 일 전부터 책을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책의 서문에 프로그래머에 대한 언급이 잠깐 나옵니다. 프로그래머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를 압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아서 소개해드립니다.
매일매일 기적을 만들고 있는 펌킨 가족들. 파이팅입니다. ^^
책에서 말하는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란 특정한 기술이나 프로세스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각 상황에서 최선의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해결방안을 찾아낼 수 있고, 실용적인 기술에 능숙하며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두려움이 없는 프로그래머를 말하고 있습니다.
몇 일 전부터 책을 다시 읽기 시작했는데, 책의 서문에 프로그래머에 대한 언급이 잠깐 나옵니다. 프로그래머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를 압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아서 소개해드립니다.
프로그래밍은 기예(craft)다. 가장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에게 여러분이 시키고 싶은 일을 하게끔 만드는(또는 여러분의 고객인 사용자가 시키고 싶은 일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프로그래머는 어떤 면으로는 들어주는 사람이고, 어떤 면으로는 조언하는 사람이며, 어떤 면으로는 통역하는 사람이기도 하고, 어떤 면으로는 명령을 내리는 사람이기도 하다. 프로그래머는 애매모호한 요구사항을 포착해서 단순한 기계까지도 그것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으려 노력한다. 프로그래머는 다른 사람도 이해할수 있도록 자신의 작업을 문서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이 한 것을 바탕으로 또 다른 것을 만들 수 있도록 자신의 작업을 설계하려고 노력한다. 이뿐이 아니라, 프로그래머는 쉬지 않고 똑닥대는 프로젝트 일정 시계의 초침에 굴하지 않고도 이 모든 일들을 해내기 위해 노력한다. 프로그래머는 매일매일 작은 기적을 만드는 것이다.
매일매일 기적을 만들고 있는 펌킨 가족들. 파이팅입니다. ^^